○ 컬러리스트기사 : 색채에 관한 이론지식과 실무능력을 가지고 조사, 분석, 계획, 디자인, 관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며, 특히 색채업무를 종합적으로 계획?실행?검증하는 능력의 유무 ○ 컬러리스트산업기사 : 색체에
관한 기술기초이론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색채의 속성별 선정능력, 기호연상언어, 인지력,
도색능력의 유무
|
컬러리스트기사 : 대학 졸업자(졸업예정자), 관련분야 실무경력 4년 등 컬러리스트산업기사 :
전문대학 졸업자(졸업예정자), 관련 분야 실무경력 2년
구 분
|
컬러리스트 기사
|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
필기시험
|
1. 색채심리?마케팅 2. 색채디자인 3.
색채관리 4. 색채지각론 5. 색채체계론
|
1. 색채심리 2. 색채디자인 3. 색채관리 4. 색채지각의
이해 5. 색채체계의 이해
|
실기시험
|
색채계획 실무 |
색채계획
실무 |
자격종목 : 컬러리스트기사 1급
|
직무분야 : 전문사무 |
검정방법 : 필 기
|
적용시점 : 2002.
7.16 |
시험과목
|
출제 문제수
|
주 요 항 목 |
색채심리/마케팅
|
20
|
1. 색채의 정서적 반응 |
2. 색채와 문화
|
3. 색채의 기능
|
4. 색채 마케팅의 개념 |
5. 색채 시장조사 |
6. 소비자 행동 |
7. 색채 마케팅 |
8. 홍보전략
|
색채디자인
|
20
|
1. 디자인 개요
|
2. 디자인사 |
3. 디자인 성격 |
4. 디자인 영역 |
5. 디자인 실무이론 |
색채관리
|
20
|
1. 색채와 소재
|
2. 측색
|
3. 색채와 조명
|
4. 디지털 색채
|
5. 조색 |
6. 색채품질관리 규정 |
색채지각론
|
20 |
1. 빛과 색 |
2. 색채 지각 |
3. 색채의 지각적 특성 |
4. 색채지각과 감정효과 |
5. 색의 혼합 |
색채체계론
|
20 |
1. 색채 표준 |
2. 먼셀 색체계 |
3. 오스트발트색체계 |
4. CIE, ISO색표
|
5. 기타 표준색체계 |
6. 색명체계 |
7. 한국의 전통색
|
8. 색채 조화이론
|
자격종목 : 컬러리스트 기사
|
직무분야 : 전문사무 |
검정방법 : 실 기
|
적용시점 : 2002.
7.16 |
시험과목
|
주 요 항 목 |
세 부 항 목
|
색채계획실무
|
1. 3속성 테스트
|
1. 색채의 3속성을 정확하게 표기 2. 색채의 대비효과
표현
|
2. 색채 재현 |
1. 조색의 정확성(육안조색) |
3. 색채계획 실무 |
2. 도면작성 1) 아이디어 스케치 2) 주조색과
보조색, 강조색의 선정 3) 색채규격에 의한 표현 4) 배색 |
4. 과제 범위
|
1. 색체계획은 패션, 미용, 제품, 시각, 실내, 환경,
멀티미디어 등에서 구분없이 출제 |
- 필기 : 100점 만점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 만점 60점 이상
현재 국내 관련 대학등 패션인력 양성기관에서는 매년 1만7000여명의 전문인력이
배출되고 있으나 패션디자이너 교육에 편중하여 디자이너는 과잉공급되고 있는 반면 패션머천다이저, 코디네이터, 칼라리스트 등 기타 특수직종의
전문인력 양성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산업 분야에서 색채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문인력은 약 500,000명에 이른다. 그러나
전문화와 자격 인증제도가 도입되면 전문인력의 취업의 기회 증대와 업종의 다각화, 사내의 업무세분화로 인하여 2배수 이상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것은 타전공자 또는 전문인력으로 신분 변화를 원하는 인력에게 전문인이 될 기회를 부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색채라는
고부가가치상품과 문화상품의 기대에 부응하여 계속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기존의 사내외 교육을 통한 비용을 절감하고 임시방편의 수시 교육이
아닌 체계적인 자격을 취득함으로서 보다 폭넓은 능력의 소유자를 배출할 수 있다. 컬러리스트의 사회 진출 분야와 전문화 분야는 컬러마케팅 분야,
컬러디자이너 분야, 컬러코디네이터 분야, 색채관리사 분야, 조색사 분야, 색채표준기획가 분야, 색채교육사 분야, 나아가 컬러컨설턴트 분야와
색채관련 최고의 전문가인 컬러플래너 분야가 있다. |